■ 기간: 2022년 11월 17일(목)/ 총 기간 2022년 11월 10일(목)~ 11월 26일(토)
■ 7일차 구간: Deurali(데우랄리)-MBC(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)
■ 전체구간: 네팔 포카라 / Tikhedhungga(팅게둥가)- Ulleri(울레리)- Ghorepani(고레파니)- Poon Hill(푼힐 전망대)- Deurali(데우라리)- Chuile(추일레)- Chhomrong(촘롱)- Sinuwa(시누와)- Bamboo(밤부)- Dobhan(도반)- Himalaya(히말라야 롯지)- Deurali(데우랄리)- Machhapuchhre Base Camp(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)- Annapurna Base Camp(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)
■ 여행자: 알비노, Sabin(네팔인/가이드 겸 포터)
■ 후기
Deurali(데우랄리)- Machhapuchhre Base Camp(마차푸차레 베이스캠프)- Annapurna Base Camp(안나푸르나 베이스캠프) 구간은 ABC로 가는 클라이맥스 구간이다.
깎아지른 듯 길 양편의 어마어마한 산과 절벽. 그리고 안나푸르나 군(群)의 높은 산들.
걷다가 쉬다, 쉬다가 걷다는 반복 한다. 몇 며칠 고난의 트레킹 보상이라도 받기 위해 숨을 가다듬고 주변의 절경을 감상한다.
가끔 옆을 스쳐 지나가는 트레커들 사이에서 건네는 말.
'라마스테 Namaste' ! '당신 안의 신에게 경배드립니다. 내 안의 영혼이 그대 안에 영혼에게 평안드립니다. 온 우주를 포함한 당신을 존경합니다.'라는 뜻이다.
보는 사람마다 전부가 '라마스테 Namaste'!로 통한다.
데우랄리의 높이는 3,230m, 마차푸차레 3,700m, ABC의 높이는 4,130m이다.
1,500m의 고지에서 출발했으니 2,600m의 높이를 더 올라온 샘이다. 지리산 천왕봉의 높이가 1,915m.
비교가 된다.
원래는 데우랄리에서 ABC까지 하루에 올라가려고 했었는데 숨이 차고 힘들어서 MBC에서 묵기로 했다.
걷는 도중에 두 번의 고산병 증세를 겪었는데 MBC 숙소에서도 고산병을 겪었다.
내게는 수면 도중 새벽에 찾아왔다. 숨 쉬기 힘들고 누군가 목을 조르는 느낌이었다.
기분이 썩 좋지 않은.
11월 중순, 한국에서는 겨울철인데 이곳의 낮 날씨는 자외선 농도가 짙었고, 더웠지만 밤과 새벽은 추웠다.
MBC 숙소에서 아내로 내려다보는 경치는 절경이었다. 위쪽으로 쳐다보니 ABC로 가는 길은 눈에 들어왔지만
ABC의 모습은 아직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.
하룻밤 묵고 내일 또 목적지를 향해 걸어야 했다.
■ 참고자료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XIJ6K/btsljg1WQf6/Lj0RKNAjxKxcFxAUxvIAA1/img.jpg)
▲ 울레리 고도가 1,960m, 고레파니 고도가 2,874m, 푼힐 전망대 3,210m
출발 전 구간별 걸리는 시간을 참고 자료를 갖고 갔었는데 고도에 따라 고산병과 컨디션이 수시로 변하는 까닭에 현지에서는 별의미가 없었다. 나와 같이 출발한 한국에서 온 젊은 친구는 고레파니에서 고산병이 와서 반나절을 롯지에서 쉬었다 나중에 출발했다고 했다. 울레리에서 나와 같이 출발했는데 엄청 빨리 올라갔는데 결국 그렇다.
다행히 난 푼힐 전망대까지는 별 이상 없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HpkYs/btslaHmwQnY/kDdTtLMMi8F5ACKBkOi0B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OWUVd/btslaJdu5aW/j31TgYKwuubR8G0NK4X3KK/img.jp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Q6623/btslatWltbB/i5USnZHSVGDlvhfxRtWOvk/img.jpg)